볼거리 리스트
리스트 검색
지도 검색
전체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검색 결과 서울
4347개
기본순
인기순
높은 평점순
낮은 평점순
리뷰 많은순
카테고리 선택
자연
인문
레포츠
쇼핑
Description
자연 갈산근린공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162-56
#주차가능
대체로 산세가 둥근 양천구의 다른 산들과는 달리 갈산은 동쪽 부분이 벼랑처럼 깎인 절경을 뽐낸다. 안양천의 오랜 침식작용으로 산 정상이 칼날처럼 변한 것으로 ‘칼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갈산’으로 순화되었다. 갈산 입구에는 어린이 교통공원이 들어서 있고, 중턱에는 중심광장과 산책로 등의 쉼터 그리고 정상에는 전망대가 있어 양천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갈산 정상에는 ‘갈산정’과 함께 그 옆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삼각본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삼각점은 모든 측량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국가시설물로 1910년 6월 우리나라 최초로 토지조사 사업을 위해 설치한 측량기준점으로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된 양천구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2.9 508
Description
인문 감로암(서울)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3길 16
#주차가능
동대문에서 대학로로 들어가는 율곡로 대로변에 자그마한 사찰이 있다. 그 이름도 특이하게 목마른 중생에게 구제의 감로를 준다는'감로암'이다. 도심 속 삭막한 빌딩 숲 사이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주택가 그 곳에 정말 도심에서 보기 힘든 자그마한 암자가 있다. 규모로 보나 사세로 보나 정말 암자의 수준이지만, 그 역사는 벌써 100여년이 흘렀다. 가람은 대로변에서 주택가로 나 있는 골목길을 따라 들어서면 보이는 곳에, 여느 주택과 별반 차이없이 건물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고 예배하고 있다. 하지만 여법하게 산문을 만들고 단청을 하며, 기와를 엮어 고풍스런 가람의 멋을 느끼게 한다.옛부터 관음영험도량으로 알려진 감로암은 동네 어르신들, 특히 할머니들의 다담방, 기도처로 알려져 있다. 감로암은 사찰의 이름처럼 누군가 구제 받을 수 있고,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감로가 있는 곳이다. 지금은 마시지 못하지만 보타전 아래에는 여전히 그 옛날 감로의 맛을 느끼게 했던 감로가 흐르고 있다.
2.9 113
Description
인문 강남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주차가능
강남역 주변은 강남 지역에 있어서 교통의 핵심인 곳이다. 강남대로를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테헤란로가 뻗어 있어 잠실 방향과 이어지며, 서쪽으로는 사당 방면으로 연결된다. 교보타워 사거리에서 좌측으로는 고속터미널과 이어져 노량진 및 서부 서울로 연결되며, 그대로 북쪽으로는 한남대교를 거쳐 강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양재를 거쳐 분당 등의 신도시와 성남시 등 수도권으로 연결된다. 많은 유동인구가 강남역으로 모이는 이유는 강남역 부근이 만남을 위한 약속장소로 적합하기 때문이다. 각종 모임이나 행사 또는 개인적인 만남을 갖기에 좋은 지역적, 상권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평일에는 주로 저녁 시간대, 주말의 경우는 낮부터 강남역 10, 11번 출구, 롯데시네마 앞(구, 시티극장), 지오다노 매장 앞 등에서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편리한 교통과 다수의 패션 관련 매장, 극장, 대형서점 등 소비를 하기 좋은 이러한 환경이 거리가 먼 지역의 소비자들까지 강남역으로 모이게 하고 있다. 강남구에서는 내ㆍ외국인 관광객에게 종합관광서비스는 물론, 강남구의 우수 인프라인 의료와 한류에 대하여 보고,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체험형 관광거점시설인 강남관광정보센터를 건립ㆍ운영하고 있으며, 강남관광정보센터는 서울과 강남의 주요 관광명소를 안내하고 관광객 편의시설을 갖춘 ‘종합관광안내센터’와 강남구 특화 병원과 진료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체험할 수 있는 ‘메디컬투어센터’, 한류 스타를 활용하여 다양한 한류체험이 가능한 ‘한류체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3.1 155
Description
인문 강남 시티투어 (트롤리버스)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61
#주차가능
강남의 주요 관광명소를 순환하는 셔틀버스로, 2016년 5월부터 세빛섬 정거장에서 강북을 여행하는 서울시티투어버스로 환승이 가능하도록 통합 운영 중이다. 운영되는 트롤리버스는 1910~20년대의 전차와 해외에서 운영 중인 트램 디자인을 모티브로 제작이 된 관광용 버스로 특이한 디자인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강남역을 시작으로 선정릉, 봉은사, 코엑스, 롯데월드타워, 한류스타거리, 압구정로데오거리, 가로수길, 세빛섬, 고속터미널상가, 서래마을 등의 강남 주요 관광명소를 지나 강남역으로 돌아오는 코스이다. 서울시티투어버스에서 어라운드 강남 코스로 즐길 수 있다. 탑승 후에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오디오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3.2 96
Description
자연 개봉 유수지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
#주차가능
유수지의 특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생태기반환경 복원과 주변 주거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서식공간 조성으로 종다양성 증진, 목감천의 하천생태축과 연계한 도시생태 네트워크 구축했다.
2.9 165
Description
인문 개운사(서울)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길 73
#주차가능
안암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개운사는 그리 크지는 않지만 한국 불교 개혁의 근원지이고, 현재는 김포에 위치하고 있지만 불교 교육의 근본도량인 중앙승가대학이 있던 곳이다. 이 절은 조선 초 태조 5년(1396)에 왕사(王師)인 무학대사가 동대문 밖 5리 정도되는 안암산 기슭, 현재 고려대학교 이공대학 부근에 절을 짓고 영도사(永導寺)라고 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후 정조 3년(1779) 5월에 정조의 후 궁 원빈(元嬪)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영도사 자리에 묘소를 정하고, 명인원(明仁圓)이 세워지자 인파당(人波堂) 축홍(竺洪)스님이 영도사를 동쪽으로 몇 리 떨어진 현재의 자리에 절을 옮겨 지었다고 하였으나 '사기(寺記)'라는 문 헌에는 영조 6년(1730)에 영도사가 이전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영도사가 개운사로 이름을 바꾼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개운사는 20세기 이후에 한국 교육불사와 불교의 진보적인 운동을 주도해 왔다. 1926년 근대 불교의 대석학이었던 박한영 스님이 머물었고, 이절의 암자인 대원암에 탄허(呑虛)스님이 머물면서 역경(譯經) 사업에종사 하였다. 이 절은 현재 조계종이지만 최근까지 태고종에서 관리하였으므로 1955년에 대처승 주최로 전국포교사대회(全國布敎師大會)를 개최 하기도 하였다. 1981년부터 중앙승가대학이 이곳을 교육도량으로 사용하면서 현대사 속에서의 개운사 전통을 꽃피우는 계기가 마련 되었다.조선말 고종 10년(1873)에 명부전을 세우고 나서 7년 후인 1880년에는 이벽송(李碧松)대사가 대웅전을 중건하고, 그 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출처: 개운사)
3.1 178
Description
자연 거리공원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원로 28
#주차가능
구로구(九老區)는 옛날에 노인 9명이 오래도록 장수하였다는 전설로부터 유래된 지역이다.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106-5번지 가마 산길 거리공원오거리에서 구로구 구로동 3-55번지 신도림역에 이르는 보조 간 선급 가로를 거리공원길이라고 하는데, 구로 거리공원을 따라 이어진 길이라는 의미에서 거리공원길이라고 이름 붙였다.
3.0 112
Description
인문 경국사(서울)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113-10
삼각산(현 북한산)의 정기를 받아 정릉천이 흘러내리는 맑은 골에 자리잡은 경국사는 고려말에 창건된 고찰이다. 크고작은 전각들이 언덕 곳곳에 들어앉아 더욱 산사의 분위기를 내는 사찰이다.
2.9 412
Description
인문 경성 부민관 폭탄 의거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5
#주차가능
경성 부민관 폭탄 의거지는 경성부민관에서 친일파가 주도하는 대회를 방해하기 위해 폭탄을 터트린 곳이다. 1945년 7월 24일 경성부민관 폭탄 의거 경성부민관은 1935년 12월 태평동 60번지에 세워진 경성부의 부립극장으로, 오늘날로 하면 시립극장이다. 경성부민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에 대강당·중강당·소강당·담화실 등을 갖춘 다목적 회관으로서, 당시로는 드물게 냉난방 시설과 조명·음향시설을 갖추어 각종 극단의 공연은 물론 전시 총동원 체제 아래 각종 관변 집회의 장소로 널리 이용되었다. 경성부민관 폭탄의거를 주도한 조문기·유만수·우동학·강윤국 등 당시 20세 안팎의 열혈 청년들은 1945년 5월 서울 종로구 관수동 13번지 유만수의 집에서 대한애국청년당을 결성하고 항일투쟁의 기회를 엿보았다. 1945년 7월 24일 저녁 경성부민관에서 친일파 거두인 대의당의 박춘금 일당이 주최하는 아세아민족분격대회가 열린다는 보도가 나오자, 조문기 등은 비밀회합을 갖고 대회장을 폭파할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유만수가 수색변전소 공사장 발파 인부로 침투해 빼낸 다이너마이트로 사제폭탄 두 개를 만들어 대회 전날 밤 대회장 뒤편 화장실 쪽에 설치하였다. 폭탄은 대회 당일인 7월 24일 밤 9시경 박춘금이 시국 강연을 위해 등단하고 얼마 뒤에 터졌고, 그것으로 대회는 중단되고 말았다. 경성부민관 폭탄의거는 해방을 한 달도 채 남겨두지 않은 시기에 꺾일 줄 모르는 민족의 독립 의지를 안팎에 떨친 사건이었다. 현재는 서울시의회 부지로 폭탄의거지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설치되어 있다.
3.1 70
Description
인문 경운동민병옥가옥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0길 23-9
#주차가능
경운동 민병옥 가옥은 1930년대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개량한옥으로,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건축가 박길용(1898∼1943)이 설계했다고 전한다. 경운동 66-8번지에 있던 정순주 가옥과 같은 평면으로 정순주 가옥은 이 집의 뒤채에 해당한다. 원래 건축주가 두 아들에게 한 채씩 주기 위하여 지은 집으로 네모반듯한 집터 동쪽에 대문이 있고, 앞마당으로 들어가면 남향으로 H자형의 건물이 있다. 중심축에 부엌·대청·건넌방·사랑방이 있고, 부엌의 앞쪽으로 안방, 뒤쪽으로 뒷방이 있다. 반 칸 너비의 툇마루를 두어 동선을 연결하였다. 사랑방의 앞쪽에는 누마루를, 뒤쪽에는 현관마루를 두었다. 건넌방은 상당히 큰 방으로 꾸며 사랑방 구실을 하고, 현관마루와 연결되는 사랑방은 응접실 용도로 사용하도록 설계한 듯하다. 마당 남쪽 담장 밑에는 작은 화단을 가꾸어 놓았다. 현관과 화장실·목욕탕을 내부에 두고 이들을 연결하는 긴 복도를 둔 점과 유리창을 단 점 등 이 시기 개량한옥의 모습을 잘 보여주며, 주택의 변천을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현재는 문화유산 보존을 위하여 출입은 불가하고 건물의 외부만 관람 가능하다.
3.0 160
Description
인문 고당조만식선생동상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16
1976년 12월 7일 서울 광진구 능동 18(서울 어린이대공원 내)에 조만식 선생의 숭고한 항일정신과 자유 수호를 기리기 위해 건립한 동상이다. 동상은 민복진이 작업을 했으며 동상 좌대의 전면 글씨는 고 박정희 대통령이 썼다. 고당조만식선생동상은 조선의 간디라 불리는 비폭력 무저항주의를 실천한 사상가이자 독립운동가이다. 평남 강서 출신으로 오산학교에서 민족교육에 힘쓰다 교장직을 사임하고, 1919년 3.1운동을 주도하다 1년간 옥고를 겪었다. 이후 1920년 조선 물산장려운동회를 조직하여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선 민립대학 설립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인재 양성에 힘쓰고, 1932년에는 조선일보사 사장으로 취임하여 언론 창달 및 민족 계몽에 앞장섰다. 조만식 선생은 좌·우파가 하나가 되는 신간회가 결성되도록 애썼으며, 광복 후 반탁운동과 민족자주 독립운동의 지도자로서 활동하다가 소련군에 의해 연행된 이후 공개적인 장소에서 선생의 모습을 다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조만식 선생은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2.9 80
Description
자연 고덕동 생태경관 보전지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396번지 일대
고덕동 생태경관 보전지역은 서울지역에서 자연성이 높은 지역으로 고덕수변생태복원지와 연접하고 있으며 고덕 지천부터 암사취수장 우측 산림지역 일부와 호안 및 한강 저수부지까지 포함하는 구역이다. 고덕수변생태복원지역 중 조류관찰소 등 일부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서울지역에서 자연성이 높은 지역으로 인근 산림지역과 연계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시민들에게 여가 및 생태체험 학습 장소로 제공되고 있다.
2.9 119
Description
인문 경찰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08
#주차가능
우리 사회의 안정과 치안을 위해 순국·순직한 영등포 경찰서 출신 경찰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추모하고 그분들의 고귀한 업적을 후세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건립된 추모비이다. 6ㆍ25전쟁 직후 전몰·순직한 경찰 62위 및 국내에서 발생한 각종 시위 진압 과정에서 순직한 경찰 16위 등 총 78위의 경찰들을 기리고 있으며 서울 영등포 경찰서 내에 위치해 있다.

* 규격 - 높이 2m, 부지면적 33㎡
* 건립자 - 서울영등포재향경우회(2006.06.23. 건립)
2.8 42
Description
인문 경희궁 흥화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주차가능
조선 광해군 8년(1616)에 세운 경희궁의 정문으로, 경희궁은 처음에는 경덕궁이라 하였는데 경복궁을 북궐이라하고 창덕궁을 동궐이라 하듯이 이를 서궐이라 하였다. 본래는 인조의 생부 원종의 잠저가 있던 곳으로 광해군이 왕기를 없애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한다. 일제 때인 1910년 경희궁을 헐고 경성중학교(서울 중고등학교)를 건립하였다. 이때 이 문은 남아 있다가 1932년 박문사에 이전되어 정문으로 삼았는데 박문사는 안중근 의사의 손에 죽은 이토 히로부미의 사당이었으나 현재 신라 호텔이 이 자리에 들어서게 되어 신라호텔 정문으로 사용되었었다. 1986년 서울시에 의하여 공원으로 개방되었다.
3.0 428
Description
자연 경희궁공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주차가능
종로구 신문로에 있으며 흥화문, 숭정전 등 문화재와 시립미술관, 서울 정도 600년 기념관 등이 있어 공원과 더불어 문화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경희궁은 원래 조선 시대 광해군 8년(1616)에 '경덕궁'이라는 이름으로 건립되었다가 영조 36년(1760)에 경희궁으로 개명되었다. 처음에는 회상전, 융복전, 집경당, 흥정당, 숭정전, 흥화문, 황학정 등의 건물이 있었으나 융복전과 집경 당은 없어지고 나머지 건물들은 1910년 경성중학교(지금의 서울고등학교)가 설립된 후 여기저기로 옮겨졌다.
3.0 13
Description
인문 고래사진관 필름현상소
서울특별시 중구 마른내로2길 31 (충무로3가)
#주차가능
고래사진관 필름현상소는 필름 사진 현상소이다. 엘리베이터 없는 3층을 올라가면 입구 앞에는 필름을 접수할 수 있는 통이 있다. 영업시간이 아닐 때 방문해도 필름 현상을 접수할 수 있다. 스캐너와 현상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스캐너는 노리츠, 후지, 코닥 3종류이고. 현상은 컬러, 흑백, 영화용, 슬라이드 4종류이다. 스캐너 종류를 선택하지 않으면 노리츠스캐너로 진행된다. 흑백, 영화용, 슬라이드 필름은 영업일 기준 3일 정도 소요되므로 참고해야 한다. 접수일 기준으로 필름 보관은 2개월, 데이터 보관은 3개월이고 이후 순차적으로 폐기한다. 필름 인화는 배송으로도 가능하다. 셀프 스캔을 하려면 오른쪽 카메라 전시대 뒤로 가면 된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색감을 조절해서 스캔할 수 있다. 직접 스캔하면 30분 안에 결과물이 나온다. 결과물을 담은 봉투에 찍을 수 있는 다양한 도장들이 준비되어 있다. 필름 카메라와 필름도 판매하고 있어서 구매할 수 있다.
3.1 123
Description
자연 고척근린공원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로45길 39
#주차가능
고척 근린공원은 고척2동에 위치하며 자연적인 야산을 공원으로 조성한 구로구의 대표적인 공원이다. 높은 곳에 생긴 마을이라는 데에서 유래해서 고척이라는 지명을 갖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은행나무와 벽화가 일대에 있어 산책하기에 적합하며, 다양한 운동기구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2.6 12
Description
인문 고척동 고인돌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
#주차가능
구로구 고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이다. 고척고등학교 뒷산 삼국시대의 토성인 신정리 토성 경내에 있다. 이 고인돌은 1998년 서울대 조사단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는데 그 후 실시된 관련분야 교수들의 조사에서 [덮개돌의 주변에 덮개돌과 동일한 형태의 돌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규모는 크지 않지만, 돌방이 확인되었으며, 굄돌 등의 배치 상황으로 미루어 고인돌로 추정케 한다. 고척동 고인돌은 구로구에서 유일한 고인돌로서 주변의 고척동 유물산포지 등과 더불어 청동기시대 주변 지역 일대의 문화상 이해에 좋은 자료가 된다. 이곳은 구로올레길 코스에 있으므로 가볍게 산책을 하면서 함께 둘러보는 것도 좋다.
3.6 17
Description
인문 고하송진우선생동상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16
#주차가능
독립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정치가이자 민족지도자로 활동한 고하 송진우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서울어린이대공원 내(정문과 서문 사이 위치)에 있다.고하 선생은 3.1운동을 배후 주동하여 옥고를 치루었고 1921년 동아일보 사장 취임 후 20여년 간 신문을 통하여 일제 암흑기에 국내 독립운동을 주도하고 민족 민주 민생 민문주의를 구국의 기본사상으로 삼아 언론 교육 산업 문화활동을 통하여 독립을 위한 민족의 힘과 얼을 고취하였다.해방 직전 일제의 정권 인수제의를 거절하였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을 창당하여 동아일보 사장으로서 민주건국과 신탁통치 반대에 진력하던 중 한현우 등의 총탄에 서울 원서동 자택에서 서거하였다.

* 규격 - 좌대면적 9㎡, 좌대높이 3.9m, 동상높이 3.6m
* 건립자 - 송진우선생동상건립위원회(1983.09.23. 건립)
3.2 47
Description
자연 구룡산(서울)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
#주차가능
구룡산(九龍山) 정상은 해발 307.7m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 내곡동, 양재동과 강남구 개포동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 구룡산은 열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인근을 지나가던 임신한 여성이 보고 크게 놀라 소리를 질러 용 한 마리가 떨어져 죽고, 아홉 마리만 하늘로 승천하였다고 한다. 아홉 마리의 용이 승천하면서 남긴 흔적이 구룡산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하늘에 승천하지 못하고 죽은 용이 있던 자리가 물이 되어 양재천(良才川)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실제로 산을 자세히 보면 9개의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상보다 낮은 이 산의 주봉(主峰)은 국수봉(國守峰)이라고 하는데, 조선시대 전부터 정상에 봉수대(烽燧臺)가 있어 국가를 지킨다고 해서 붙여진 것으로 이 곳에는 바위굴 국수방(國守房)이 있어 봉수군(烽燧軍)이 기거했다고 한다. 『여지도서』 광주목에 "관아의 남쪽 30리에 있다.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내곡동에 있는 헌인릉과 함께 구룡산 기슭에 세종대왕이 묻힌 영릉(英陵)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년)에 여주로 천장(遷葬)하였다. 초장지(初葬地)였던 구룡산 내곡동에 국가정보원이 들어서 있다. 구룡산 제2봉인 국수봉전망대는 서울 강남.강북과 경기도 한강하류와 상류지역까지를 관망할 수 있는 최적지로 주.야경 조망명소이다. 약 300m의 산으로 산높이나 길이 험하지 않아 가족과의 산행코드로는 제격이며, 접근성도 용이하여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구룡산에는 능인선원과 자룡사가 있다. 2015년 9월 13일 능인선원에 세계 최대 약사여래좌불을 점안하여 이름을 "서울약사대불"이라 하였다. 이 산에는 자작나무과인 수피가 얇은 종잇장처럼 벗겨지는 물박달나무 군락지가 산재해 있으며, 그 외에 신갈나무,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등이 있다. 관악산, 청계산, 우면산 등과 산자락이 이어진다.
2.3 3
전체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20개씩 보기
40개씩 보기
60개씩 보기
80개씩 보기
100개씩 보기
카테고리 선택
자연
인문
레포츠
쇼핑